토목 면접 39

지중유류저장탱크 계획, 시공, 품질, 안전

핵심: 구조체 외부로 누유 차단, 구조체 내부로 유입수 차수, 철제탱크 강성 확보 중요 이에 따라 중점관리 ①계획검토 ②시공관리 ③품질관리 ④안전관리 ①계획검토 ◦ [위험물안전관리법 규격별표6]; 2기 지중탱크를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 ◦ 방재지대: 지중탱크 전체가 포위될수 있도록 방재지대 설치 소방도로 설치 ◦ 소방도로: 인화점 70℃↓[경유 55℃] 위험물 취급하므로 소방도로 도로폭 6m↑ ②시공관리 ◦ 浮上: 구조물 부상 방지 위해 지하수위는 터파기 심도 이하로 관리 ◦ 누수: 바닥과 벽체 이음부 수팽창지수판 설치 時 수직도 유지 및 팽팽하게 펼쳐지게 결속선 연결 ◦ 되메우기: 30cm 층다짐 두께, 매 3개층마다 FDT 90%↑ 확보 ③품질관리 ◦ 시험굴토·시험시공 : 을 통해 기초부저판폭 2배 ..

토목 면접 2023.10.27

폐수처리시설 설치기준, 재난대응체계, 시운전

핵심: 5Ton*2대, 공법심의 된대로 제조∙설치되고, 폐수처리시설설치기준 충족하며, 1개월~6개월간 시운전 할 수 있는 시간∙예산 확보하여 소요수질 충족하는게 중요 이에 따라 중점관리 ①설치기준 충족 검토 ②재난대응 시스템 검토 ③시운전 관리 ④시공품질 관리 ①「공공폐수처리시설의 배수설비 설치방법 및 구조기준」충족 검토 ◦ 분류식: 유입관은 우수분리하여 빗물이 혼합되지 않는지 전체 오수관망 직접 확인 ◦ 맨홀: 직선부에는 공칭관경 120배↓ 간격으로 맨홀 배치, ∅350은 42m 以內 배치 ②재난위기대응 시스템 구축 검토 ◦ 정전: 상전 外 비상발전기(특히, 이동식발전기 우선) 전력 인입 가능 ◦ 중계펌프장: 정전으로 인한 강우시 오수외부유출∙동절기결빙 대비하여 관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통합정비..

토목 면접 2023.10.27

아스팔트포장공사 다짐에 사용되는 건설기계 종류

1. 포장 하부구조 보조기층∙노상층 다짐에는 굴삭기, 횡단기울기 조성을 위한 그레이다, 적정 함수비 유지를 위한 8톤 물차, 적정 다짐도 확보를 위한 진동롤라, 소규모 지역에는 콤비롤라 등이 사용되며, FDT(들밀도)∙PBT(평판재하)는 1000㎡마다 시험하여 다짐도 95% 이상을 확보해야 합니다. 2. 포장 상부구조 표층∙기층 다짐에는 프라임코트∙텍코트 RSC-3∙4 살포를 위한 5톤트럭, 아스콘을 적재한 24톤 덤프트럭, 포설을 위한 피니셔, 포장다짐을 위한 진동롤라, 구조물∙협소지역 다짐을 위한 콤비롤라∙밥캣 등이 사용됩니다. 본선 다짐에 사용되는 진동롤라 다짐순서는 1차 머캠덤 8톤 이상 4회 이상 왕복, 2차 타이어 12톤 이상 7회 왕복, 3차 탠덤 6톤 이상 4회이상 주행해야 합니다. 본선 ..

토목 면접 2023.10.27

부지內 사토처리 정산(터파기∙운반)

이 공종의 핵심은 ‘토공량 판단’, ‘확인∙경계분할측량’, ‘운반거리 판단’, ‘중기단가 산출’, ‘송장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첫 번째, 토공량 판단입니다. 측량과 지질재조사 필요한데, 측량은 설계사 CM단 시공사 합동으로 확인측량 현황측량 하여 건물의 위치∙GL∙FH를 확정하고, 시험굴착의 방법으로 지질재조사를 하면, 대략적인 유용토량 사토량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경계분할측량입니다. 정확한 터파기 물량 판단을 위한 종횡단 측량은 경계측량이 선행 및 기초자료가 되어야 하는데, LX 즉 한국국토정보공사의 경계분할측량은 일반적으로 터파기 후에 진행되어, 그에 따라 차후 부지경계 대비 기준점의 불일치 사례가 빈번이 발생하므로, 발주처에 터파기 前 LX 경계측량하도록 건의하고 확인측량결과 보..

토목 면접 2023.10.17

관로 凍害 방지

이번 현장은 ◦핵심: 지역에 맞는 토피고 확보, 물이 고임 無게 통수능력 확보하고 침하방지 중요 이에 따라 ①계획검토 ②관로 통수능력 확보 ③시공품질관리 ③-①지질재조사 ①계획검토 ◦凍結深度: 00시 최대동결관입깊이78cm 설계동결관입깊이 75%인59cm→동결심도60cm 설계 ◦표준시방서: 관로공사 토피고 1m↑ 확보, 도로횡단 時 보호콘크리트 타설토록 명시 ◦설계결과: 우수오수급수관 토피고 1m↑ 준수하여 설계 됨. ②관로공사 품질확보 ◦되메우기 前 •경사변동검사: 10m마다 수준점 대비 관저고의 수준측량으로 역경사 無 ±30mm↓ •측선변동검사: 10m마다 관로중심선 대비 좌우100mm↓ ◦되메우기 後 •거울검사: [맨홀∼맨홀 광파·레이저 비춤] 역경사 및 교통개방 後 침하 여부 검측 ※준공: 배수설..

토목 면접 2023.10.17

연약지반 팽이기초말뚝 시공관리

이번 현장은 ◦핵심: 多유입수 高지하수위 高성토의 연약지반에 따른 팽이 국부적 침하 우려 지질변화 대응하는 강성Mat기초로 구조물 기초바닥 완성까지 팽이 국부적 침하 방지 ◦연약화: 高함수비 점성토, 느슨한모래, 지속수분공급, 성토 때 발생하고 침하방지 위한 다짐환경 조성 중요 ◦부등침하: 연약지반, 이질지층, 지하수위 변화, 이질기초에서 발생하는데 이에 따라 ①지질재조사 ②시공관리 ③품질관리 ④일체형타설 공법 변경 ⑤계획 검토 ①재조사 : 터파기별 3~4개소 SPT·Core채취 등 지질분석 했으나 全體 터파기 지질특성 대표 할 수 無으므로, 시험굴토의 방법으로 지질재조사 반드시 선행한다. ②시공관리 ◦차수배수: 터파기면 스폰지현상방지 위해, 상부 토사방벽·가배수로·방수포 덮기 차수처리, 하부 집수정·2..

토목 면접 2023.10.17

아스콘포장 시험포장, 접속부처리, 교통안전시설, 성토재 품질

이에 따라 중점관리 ①시험성토·시험포장 ②시공관리 ③품질관리 ④성토재 품질 ⑤편절성토 구간 ⑥공법변경 ①시험포장 ◦ACP시험포장[實착공1개월전]: 소요면적10%인6.8a[680㎡] 기층에 대해 多차량하중 多유입수 두께博 00부지에 시행, 혼합물기준밀도, 다짐패턴, 다짐장비조합, 부착방지제 종류 선정 등 시공계획완성 및 검측기준 마련 ②시공관리; 배합, 횡경사 ◦배합: ASP함량 3%↓ 제한 배합하여 상대적으로 골재함량 증가되어 소성변형 깊이 감소 ◦반경: 곡률반경 軍用車 R12.4m인데 표층 인장균열 방지를 위해 반경 최대한 확대 ◦횡경사: 2%→2.5% 상향하여 배수속도증가시켜 균열부 및 접속부 침투수에 의한 노상·보조기층 침식 최소화 ◦ 다짐: 피니셔6m/min→머캐덤1차전압[140℃↓,5km/h,8..

토목 면접 2023.10.17

측량기준점ㆍ교통안전시설ㆍ도로점용(굴착)협의

①용도지역∙대지경계선 침범방지 위한 측량기준점 변경 ◦설계기준점: 2개소만 설치되어 일반측량작업규정 違背 (전체 대지를 감싸도록 4개소↑ 설치) ◦기준점亡失: 전체 부지 벌개제근에 의해 착공초기 설계기준점 망실, 시공기준점으로 활용 불가 ◦경계분할: 생산녹지지역 LX[국토정보공사]의 경계분할측량 터파기 이전에 시행 제한, 此後 시공기준점 vs 부지경계 불일치 사례 빈번 ◦착공 前 기준점 보강 •설계기준점: 4개소↑ 이설∙신설(측량설계사) 後 시공기준점으로 활용 •경계분할: 경계복원∙분할측량 터파기 前 시행 요청(발주처→LX) ②연결접속구간 교통안전시설 관련기관 협조체계 구축: 승인조건 부서 절차 규칙간 ◦讓與공사: 사업부지∙대지경계 밖 지자체 도로(소로1류) 접속부 양여공사 소요 발생 ◦사업계획승인조건(..

토목 면접 2023.10.17

PILE파일 시공관리, 높은 지하수위 PILE 시공

01. PILE파일 시공관리, 높은 지하수위 PILE 시공 이번 현장은 ◦ 지하수위 G.L(-)1.2m 높고, PHC-PILE Ø500 H=10~13m 1,970kN/ea 400本 ◦ 매립층 G.L(-)5m∼12m까지, 2015년 타 건물 공사 시 전석‧호박돌 발견 사례 이에 따른 중점관리 사항은 ①계획 검토 ②공법 검토 ③시공관리 ④안전조치 ①계획검토 ◦ 시공계획 : PILE vs 기초평면계획 불일치와 타 공종작업 시 꽃심좌표 변형·밀림현상 빈번하므로, 평면계획 일치작업 및 공종간섭 최소화 선행 후 천공 필요, 착공 전 코아채취로 PILE 근입깊이 대략 산정 후 PILE 주문(납품 2주 소요 고려) ◦ 지하수 : 高 지하수위 고려하여 영향 검토 병행 필요 ②A·C지역 지하수위 높고 변동 심하며 민가 근..

토목 면접 2021.05.21

산지복구

01. 산지복구 산지복구 핵심 : 토목기술인으로서 산지복구는 복구비 최소화 되도록 절토범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 이번 현장은 ◦ 산지훼손 多 6천㎡, 절토 H=14m, 콘크리트옹벽·격자블록·패널식옹벽+E/A 이에 따라 토목기술인으로서 중점관리 ①정확한 절토범위 판단 ②복구기준 준수 ③적정시기 산림공학기술인에게 인계 ④복구공법 재검토 ①정확한 절토범위 판단 위해 측량 및 지질조사가 필요 ◦ 측량 : 설계사↔시공사↔CM단 합동 확인측량·현황측량하여 ◦ 지질 : 시험굴토로 지질재조사하여 ◦ 범위 : 측량 및 지질재조사를 통해 임시야적량 및 반출사토량 등 절토공사 범위를 정확히 판단 가능 ②복구기준 준수 ◦ 목표 : 훼손지 복원목표 달성되도록 안정화, 환경오염·토사유실방지, 경관미 고려하여 절토공사 해야하고,..

토목 면접 202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