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E파일 시공관리, 높은 지하수위 PILE 시공
01. PILE파일 시공관리, 높은 지하수위 PILE 시공
이번 현장은
◦ 지하수위 G.L(-)1.2m 높고, PHC-PILE Ø500 H=10~13m 1,970kN/ea 400本
◦ 매립층 G.L(-)5m∼12m까지, 2015년 타 건물 공사 시 전석‧호박돌 발견 사례
이에 따른 중점관리 사항은
①계획 검토 ②공법 검토 ③시공관리 ④안전조치
①계획검토
◦ 시공계획 : PILE vs 기초평면계획 불일치와 타 공종작업 시 꽃심좌표 변형·밀림현상 빈번하므로,
평면계획 일치작업 및 공종간섭 최소화 선행 후 천공 필요,
착공 전 코아채취로 PILE 근입깊이 대략 산정 후 PILE 주문(납품 2주 소요 고려)
◦ 지하수 : 高 지하수위 고려하여 영향 검토 병행 필요
②A·C지역 지하수위 높고 변동 심하며 민가 근접을 고려한 천공공법 필요
◦ SIP→SDA(DRA) : 지하수에 의한 공벽붕괴·주변지반 이완 방지 및 소음·진동 저감을 위해
천공은 SDA공법으로 햄머는 무진동의 토네이도함마[트리콘비트] 사용
※ 그 중 전석·호박돌 多 지질을 고려 합성쉬트파일보다 RSD공법 적용
◦ 마이너스 : G.L(-)5m로 터파기 후 항타시 지하수에 의해 기초지반 지내력저하·시공제한 발생 예상되므로,
현 지반에 5m짜리 마이너스항타기(터파기 없이 항타) 사용하여 터파기면 노출[접촉]시간 최소화한다
③시공관리
◦ 정지 : 장비 전도방지 위해 연약지반 잡석포설, 철재깔판 깔기, 배수시설 설치로 부등침하 방지
◦ 시항타 : 근입깊이 구체화 후, 구조물당 3개, PDA+리바운드체크로 최종관입량3∼6mm, 선단지지력은 천공기RPM확인
◦ 본항타 : 수직도 1/100ㆍL/50 전자각도계오차 고려하여 다림추 여러방향에 설치, 동재하시험 1%,
정재하 구조물 1회·250본당·2배 하중, 리바운드 매본 마다, TimeEffect(시간효과) 2주 후 확인 필요 시 재항타
◦ 이음 : 용접 수평 2mm, 경사들뜸 4mm, 5℃ 이하 시 예열, 2바퀴 용접, 눈·비·강풍시 금지, 전수검사
◦ 두부정리 : 버림 두께+10cm, 자동커팅기 사용, 인장강선 30cm 인출하여 기초푸팅에 삽입
◦ 관입위치·두부파손 : 위치 75∼100mm 이탈 ⇒ 설계사 의견 첨부 ⇒ 기초확대+보강철근,
위치 150mm 이탈 ⇒ 추가 타입,
두부파손 ⇒ 구조설계사 의견 첨부 제2말뚝 시공, 기초확대+보강철근
④주요 안전사고 유형
◦ 장비전도 : 잡석포설, 철덮개 깔기, 지반상태 지속 확인으로 부등침하 방지, 배수시설 설치
◦ 협착 : 관계자 외 접근금지, 작업관리자+신호수 배치, 안전교육 지속
◦ PILE낙하 : 하차 시 안전원 배치, 와이어로프 상태 지속 점검
◦ Slime낙하 : 토사낙하방지망 부착, 안전보호구 착용, 공종순서 정확히 준수, 안전교육 지속
◦ 주변 안전 : 콤프레샤차량 고임목, 배토 굴삭기 접근금지 조치, 해머 와이어+안전핀, 에어콤프 호스 이탈방지,
방음벽 설치, 양중 상태 회전 금지
⑤이상의 중점관리를 통해 안전하며 완벽한 PILE시공에 대해 사업관리 하겠다.